본문 바로가기

콩록's 일상생활/유용한 실생활 TIP

생이새우 키우기 물위로 올라오는 이유

ㄴ쓰고 남은 쿠바펄 수상엽으로 키우기
ㄴ쿠바펄 무균수초 식재와 사용하고 남은 것 보관하기
ㄴ생이새우 어항 LED조명과 다이소 조명 비교
ㄴ토종 수초 말즘과 붕어마름
ㄴ생이새우 키우기 포란과 알의 변화
ㄴ수초 어항 쿠바펄의 성장과 검정말의 23일간의 변화

이상행동

생이새우 치비가 태어나면서 이전에는 보지 못했던 새우들의 행동을 관찰하게 되었습니다. 그것은 치비들이 어항벽을 타고 오르는 듯한 행동을 하는 것입니다. 과연 생이새우들이 이런 행동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

물 위로 올라오는 생이새우

어항 구석에 있는 기포기에서 발생하는 방울을 타고 생이새우들이 어항벽면을 기어오릅니다. 자세히 보면 벽을 타고 오른다기보다는 방울이 터지는 힘에 밀려 올라가는 모습입니다. 자력으로 벽을 올라가는 것은 아니어서 어항 탈출은 못할 것 같아 다행이지만 혹시나 어항 안의 환경에 문제가 발생하여 이상행동을 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됩니다.

물 위로 올라오는 생이새우 치비

이상행동의 원인

다음의 원인을 예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산소부족
2. PH변화
3. 과밀
4. 먹이부족
5. 놀이
6. 본능

산소부족

물속에 용존 산소량이 부족하게 되면 새우는 물론이고 다른 생물들도 픽픽 쓰러집니다. 또한 박테리아도 산소가 부족하면 죽어나가기 때문에 백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주일 전부터 새우들이 물밖으로 나오는 행동을 하였기 때문에 산소 문제라면 이미 많은 새우들이 죽었거나 백탁이 발생했을 것입니다.

PH의 변화

다양한 이유로 PH의 변화는 찾아올 수 있습니다. 우선 물갈이를 통한 PH의 변화를 확인해 볼 수 있는데 이전에는 이틀에 한 번씩 10% 정도 환수를 해주었지만 현재는 거의 4일이나 5일에 한 번씩 환수를 해주고 있기 때문에 환수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환수의 주기가 길어졌어도 물비린내는 거의 안 나거나 아주 약하게 발생하고 있어 물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은 것으로 예상됩니다.

과밀

초기 멤버 12마리와 네 번의 방란으로 약 60마리 정도의 치비가 태어났다고 치면 70마리 정도의 새우가 30 큐브 어항에 있다고 했을 때 어떤 사람은 30 큐브에 100마리가 넘는 새우를 사육하고 있어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하니 과밀은 문제가 아닌 듯합니다.

먹이부족

새로운 식구들이 생겨서 일주일에 한 번씩 주던 먹이를 이틀에 한 번씩 초설화와 비트를 번갈아서 급여하고 있습니다. 간간이 어항 벽에 있는 이끼도 긁어서 주고 민물 삿갓조개도 으깨서 특식으로 먹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사료를 실컷 먹고도 똑같은 행동을 하는 것을 보면 사료 급여량의 문제도 아닌 것 같습니다.

놀이

빠른 물살을 타고 노는 물고기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생이새우 역시도 기포기에서 올라오는 공기방울을 맞고 깜짝 놀라는 모습을 보였지만 지금은 공기방울을 정면으로 맞으면서도 도망가지 않고 오히려 저항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게다가 큰 새우들보다 어린 새우들의 모습이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봐서는 놀이의 개념으로 물방울을 타고 노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때로는 너무 많이 올라가기도 하는데 물이 마르기 전에 기어서 내려오니 말라죽을 일은 없어 보입니다.

본능

물 밖으로 나와 상류로 올라가는 민물 새우들의 모습이 태국에서 목격되었다고 합니다. 매년 우기에 이러한 행동을 하는 민물 새우들을 볼 수 있으며 이동하는 이유는 강한 물살을 피하기 위해 이동한다고 합니다. 일조량의 감소와 빠른 유속, 낮은 대기 온도도 이동을 촉진하는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루 16시간 동안 조명을 켜두고 있기 때문에 일조량의 영향은 아닐 것이고, 미니 기포기를 강하게 사용하지만 물 표면만 유속이 빠릅니다. 이 글을 쓰는 지금은 가을이지만 기상이변으로 여름같이 덥기 때문에 낮은 대기 온도도 어항 상황과 맞지 않습니다. 

새우가 어항 벽을 타고 오르는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 봤습니다. 그래서 결론은 새우가 물살을 타고 놀다가 벽면에 기어오르게 되는데 이것을 즐기는 것으로 결론을 지어봅니다. 어항의 환경은 매우 복잡한 원인으로 설명하기 어렵지만, 방란이 끝나면 얼마 안 가서 새로운 포란을 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어항 환경이 나쁘지 않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